[조사] 서울 지하철 최대 핫플은 '잠실역'...지난해 지구 1049바퀴 돌았다

본문
서울교통공사가 발표한 2024년 수송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잠실역에서는 하루 평균 15만6177명이 승하차해 서울 지하철에서 가장 많은 승객이 이용했다.
광역환승센터가 있는 잠실역은 지난해 8호선 별내선이 연장 개통한 데 따른 승객 유입 증가와 프로야구 흥행 등에 힘입어 최다 승하차 인원을 기록했다.
2위는 15만 369명의 홍대입구역, 3위는 14만 9757명으로 집게된 강남역순이었다. 강남역은 1997년 이후 2022년까지 26년간 부동의 1위였지만 2023년 잠실역에 자리를 내주며 2위로 밀려났다 지난해는 3위로 하락했다.
승하차 승객이 가장 적었던 역은 2호선 신정지선 도림천역으로 하루 평균 2천615명에 그쳤다.
MZ세대 '핫플'로 등극한 성수역은 지난해 하루 평균 8만8천59명이 승하차하며 13위를 기록했다. 2018년만 해도 42위였지만 이용객이 빠르게 늘며 2022년 17위, 2023년 15위에 이어 지난해 13위까지 올랐다.
서울 지하철 1∼8호선은 지난해 총 160만499회 운행하며 4천204만917㎞를 달렸다. 이는 지구 둘레(4만75㎞)를 1천49바퀴 돈 것과 맞먹으며, 서울∼부산(400㎞)을 5만2천551회 왕복한 거리에 이른다.
전년과 비교해 열차 운행이 9천96회 늘면서 수송 거리도 87만3천826.4㎞ 증가했다. 4·5·7호선 혼잡도 완화를 위한 열차 증회와 8호선 별내선 연장 개통이 맞물린 결과다.
수송 인원은 전년 대비 2.5% 늘어난 총 24억1천752만명, 하루 평균 660만5천250명으로 집계됐다. 월별로 보면 행락객이 늘어나는 5월이 2억1천159만4천259명으로 가장 붐볐다. 요일별로는 금요일에 승객이 가장 많고 일요일이 가장 적었다. 하루 중 오후 6시부터 7시 사이 승하차 인원이 가장 많았다. 연중 승객이 가장 많았던 날은 '3월 28일 목요일'이었다.
일평균 수송 인원인 660만명보다 186만명 더 많은 846만명이 지하철을 타고 이동했다. 여의도·석촌호수 등 서울 곳곳에서 열렸던 봄꽃 축제에 상춘객들이 대거 몰린 결과로 분석된다.
수송 인원이 가장 적었던 날은 설날이던 2월 10일 토요일로 평소의 35% 수준인 231만명이 지하철을 이용했다.
노선별로 보면 2호선이 하루 평균 196만4천128명을 실어 나르며 1∼8호선 중 가장 많은 수송 인원을 기록했다.
일평균 수송 인원은 5호선(94만4천969명), 7호선(85만2천631명), 3호선(81만2천778명), 4호선(79만915명), 6호선(52만2천260명), 1호선(40만5천564명), 8호선(31만2천5명) 순이었다.
승객이 많이 늘어난 역도 있었다. 지하철 4·7호선이 만나는 노원역은 승차 인원이 37%(4호선), 15%(7호선) 늘면서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노후 에스컬레이터 교체 공사가 지난해 8월 마무리되면서 전반적인 이용 환경이 안정화되었기 때문이라고 공사는 설명했다.
<bachoi@reviewtimes.co.kr>
<저작권자 ⓒ리뷰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땡삐I리뷰어의 최신 기사
-
[Culture] [대학가요제] 노래하는 대학생, 한강으로 모여라...10팀에 총 상금 4천만원17시간 10분전
-
[공공] [마라톤] 지구에 무해한 마라톤 ‘무해런’...오는 23일 한강공원서 개최2025-03-20
-
[Culture] [공모전] '난중일기' 함께 읽어요...9월 18일까지 '독후감 공모전 '2025-03-20
-
[문화&이벤트 리뷰] [여행 리뷰] 숨은 매력을 찾아서...작지만 강력하게 이끌리는 여행지 10곳2025-03-19
-
[공공] [대학생] '인당 400만원씩 800명에 지원'... 서울희망 대학진로 장학금 '신청 19일부터'2025-03-18
-
[공공] [생활] 코로나가 바꾼 서울 상권…카페는 매년 늘고 치킨은 줄었다2025-03-18
-
[Consumer] [건강] 결혼한 남성, 비만될 확률 3배 높다2025-03-14
-
[Culture] [공연] 4대 궁서 국악의 정수 선보인다…9월까지 총 29회2025-03-14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