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칼럼] ‘퇴출 위기’ 중국산 동영상 SNS ‘틱톡’의 운명
본문
틱톡의 급성장은 가입하고 열심히 활동하면 돈을 주는 이벤트가 주효했다. 틱톡의 경량화 버전인 동영상 시청 앱 틱톡 라이트의 현금 보상 마케팅으로, 앱에 새로 가입할 친구를 초대하거나 영상 및 광고를 시청하면 현금으로 쉽게 바꿀 수 있는 포인트를 준다. 스마트폰 앱으로 재테크를 하는 이른바 앱테크 차원에서 틱톡 라이트에 가입한 것이다. 지난해 12월 국내에 처음 선보인 틱톡 라이트의 국내 이용자는 4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오래 전부터 틱톡에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왔다.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가 중국 기업이라서 미국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미국 의회는 지난 4월 틱톡 금지법을 통과시켰는데 대선 레이스가 시작되자 흐지부지된 상황이다. 틱톡이 젊은 층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서 대선 캠페인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월에, 해리스 부통령은 7월에 틱톡에 공식 계정을 개설하고 숏폼 콘텐츠를 활용한 선거전에 돌입했다. 대통령 재임 기간 중 안보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틱톡 금지를 검토하겠다고 했던 트럼프는 자신의 틱톡 계정에 ‘나는 틱톡을 지킬 것이다(I’m gonna save Tiktok)’이라는 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미국이 비판의 화살을 거두어 들이는 상황임에도 미 법무부는 최근 틱톡이 아동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하고 있다며 틱톡을 법원에 제소하기도 했다. 몇몇 나라는 여전히 톡톡을 금지하고 있다. 인도는 2020년 6월 틱톡을 포함한 59개의 중국 앱을 전격 사용금지 조치했다.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도 틱톡 사용을 금지했고 아프가니스탄 역시 젊은이들을 오도한다는 이유로 틱톡 앱 사용을 금지했다. 이처럼 많은 나라에서 틱톡 사용에 우려를 표시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가장 큰 이유는 데이터 수집 및 처리에 있다. 틱톡은 사용자의 위치, 연락처, 브라우징 기록 등 광범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중국 국가정보법 7조는 중국의 모든 조직과 국민은 중국의 정보 활동을 "지지, 지원, 협력"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수집된 데이터의 처리 방식과 저장 위치에 대한 투명성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두 번째 이유는 틱톡이 중국 기업의 소유라는 점이다. 틱톡의 모기업인 바이트댄스가 중국 기업라서 중국 정부의 데이터 접근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바이트댄스는 베이징에서 근무하는 직원 몇 명이 최소 2명의 미국 언론인과 소수의 다른 사용자 데이터에 접근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이들의 위치를 추적해, 언론에 대한 정보 유출이 의심되는 틱톡 직원과 만나지는 않는지 확인하려 했다는 것이다.
이 사례처럼 틱톡이 국가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틱톡을 국가 안보 위협으로 간주하며 민감한 정보가 외국 정부에 유출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이는 틱톡이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의 암호화 수준이 불충분하며 사용자의 동의 없이 과도한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씻어내지 못하고 있는 데서 연유한다. 광범위한 사용자 기반으로 인해 사이버 공격의 잠재적 타깃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실제로 미 법무부는 케이시 블랙번 국가정보국장 보좌관이 워싱턴 연방 항소법원에 제출한 문서를 인용해 "바이트댄스와 틱톡이 중국 당국의 요청에 따라 중국 외부의 콘텐츠를 검열하고 있음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전했다. 법무부는 틱톡이 사내 시스템인 라크(Lark)를 통해 미국 사용자들의 민감한 데이터를 전송했고, 이 정보는 중국 서버에 저장돼 바이트댄스 직원들이 접근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또 틱톡 직원들이 수동으로 특정 동영상의 노출을 늘리는 히팅(heating) 기능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 기능은 인기 있는 콘텐츠를 활용해 광고 효과를 높이는 데 사용되지만, 중국 정부가 원하는 콘텐츠를 확산시키는 데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최근엔 미국 워싱턴 DC 연방 항소법원이 틱톡 금지법에 대한 위헌
소송을 기각하면서 서비스 중단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 미국은 틱톡으로 수집된 미국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가 중국 정부에 유출될 가능성을 우려하며 '국가 안보 위협'으로
간주해왔다. 틱톡의 미국 사업 매각을 강하게 압박해왔으며,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미국 내 서비스 자체를 금지하는 강력한 법적 조치를 추진해 왔다.
핵심 쟁점은 이른바 '틱톡 금지법'의 위헌 여부였다. 틱톡 측은 해당 법률이 "미국 헌법 수정 제1조에 명시된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며 법적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워싱턴 DC 연방 항소법원은 틱톡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법원은 틱톡 금지법이 합헌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재판을 담당한 더글러스
긴즈버그 판사는 판결문에서 "수정 헌법 제1조는
미국 내에서의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존재한다"면서도
"정부는 적대국이 미국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능력을 제한하고, 국민의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해당 법을 통과시킨 것"이라고 판시했다. 국가
안보라는 명분이 표현의 자유보다 우선한다는 점을 명확히 한 것이다.
미국 항소법원이 틱톡 강제매각법에 대해 합헌 결정을 내린 가운데 미 하원의 미중전략경쟁특위는 구글 및 애플에 내년 1월 19일에 틱톡을 앱스토어에서 퇴출해야 한다고 압박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틱톡은 미국 내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으면 현재로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일 하루 전인 내년 1월 19일자로 미국에서 퇴출된다.
관건은 트럼프 당선인의 의지에 달렸다고 봐도 무방하다. 20일 취임하는 그는 선거 기간 젊은층의 지지를 얻으려 틱톡 매각을 금지한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인선을 거의 마무리한 차기 내각에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지명자를 비롯한 대중국 강경파가 적지 않아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는 것도 사실이다. 여기에 집권 일등공신 중 하나인 일론 머스크가 비록 결은 많이 다르지만 SNS인 X를 운영한다는 점에서 틱톡 압박은 더 심해질 수도 있다. 틱톡의 운명의 시간은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ansonny@reviewtimes.co.kr>
<저작권자 ⓒ리뷰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추천한 회원
바람돌이l리뷰어 TepiphanyI리뷰어김우선I기자의 최신 기사
-
[Culture] [뮤직] 야마하뮤직코리아, 피아노 거장 '아오야기 스스무' 초청 마스터클래스 주최10시간 50분전
-
[서비스리뷰] [여행 추천] MBTI 유형별 적합한 여행지는 어디?10시간 18분전
-
[IT] [클라우드] 다올티에스-퍼즐시스템즈, VDI 및 인프라 솔루션 개발 협력키로12시간 23분전
-
[Consumer] [음식] ‘혜자로운 설 명절 도시락’ GS25서 선봰다2025-01-12
-
[SERVICE] [외식] bhc 2024년 인기메뉴 TOP52025-01-09
-
[Consumer] [음료] 12년만에 되돌아온 미노스 바나나우유2025-01-09
-
[IT] [STO] 펀블, 새해 첫 조각투자 공모 ‘더 코노셔 여의도1호’ 출시2025-01-08
-
[문화&이벤트 리뷰] [나들이 리뷰] 옛 추억 떠오르게 하는 경기도 전통시장 투어2025-01-07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