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한국을 떠나고 싶은 이유 1위는? > Culture

본문 바로가기

문화


[조사] 한국을 떠나고 싶은 이유 1위는?

한국인 세 명 중 한 명, ‘5년 이내에 한국을 떠나 해외에 거주할 의향 있어’

본문

[리뷰타임스=김민철 기자] 글로벌 온라인 영어 과외 플랫폼 프레플리(Preply) 18세 이상 한국인 1500여 명을 대상으로 해외 이주 의향 및 국내 생활의 만족도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설문은 지속되는 경기침체와 치열한 경쟁 속에서 한국에서의 삶에 대한 만족도와 해외 이주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전문 설문 조사기관 센서스와이드(Censuswide)와 함께 진행됐다.

 

조사 결과, 설문 답변자 중 424명이 5년 이내에 해외에 이주하고 싶다고 답변했다. 특히 Z세대가 38.05%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중에서도 43.43%는 해외 장기 거주 의사가 있다고 답했으며, 44.25%는 시간이 지날수록 해외 이주에 대한 욕구가 증가한다고 밝혔다.

 

해외 이주의 주요 목적은직업을 위해서가 전체의 39.96%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25%의 응답자가워킹 홀리데이라고 답변했고, 그 뒤를 이어학업을 위해서 19.52%의 응답률을 보였다.

 

프레플리가 조사한 이주하고 싶은 국가

 

해외로 이주하고 싶은 이유는 다양했지만, 특히 남성(30.22%)의 답변이 여성(23.03%)에 비해 우세했던 항목으로는매력적인 임금 때문에가 있었고, 반대로 여성 비율(34.27%)이 남성 비율(28.42%)보다 높았던 답변으로는직업 기회나 경력 향상을 위해서가 있었다. Z세대의 경우 다른 세대보다해외에서의 거주가 개인적인 자유를 보장해 줄 것이라는 기대가 높았다.

 

이들이 한국을 떠나고 싶어 하는 주요한 요인으로는불안정한 경제 상황’(32.89%), ‘낮은 임금’(25%)과 같은 경제적 상황에 대한 불만족이 각각 1위와 4위를 차지했다. 또한불평등한 사회’(28.73%), ‘정치적 불신’(28.29%), ‘성과지향적 사회’(24.56%) 등이 높은 순위에 올라 정치적, 사회적 상황에 대한 불만족 역시 한국을 떠나고 싶은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성별 응답에 따르면 남성은정치적 불신 32.01%로 가장 높았던 것과 달리 여성은경제적 불안정성’(36.52%)낮은 임금’(29.78%)이 가장 높은 순위에 나란히 올라 경제적 요인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보여줬다.

 

뿐만 아니라 이들이 해외 이주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소셜 미디어’(46.05%)로 나타났고, ‘뉴스’(35.53%)가 그 뒤를 이었다. ‘가족’(34.21%)이나친구’(32.46%) 또한 해외 이주를 고려하게 만드는 주요 요인이었다. 그 외에도셀러브리티 및 인플루언서’(23.25%), ‘영화’(17.32%) 등이 해외 이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꼽혔다.

 

이주하고 싶은 국가로는 미국(35.53%)과 호주(32.02%), 캐나다(30.26%), 뉴질랜드(20.83%), 영국(12.06%)과 같은 영미권 국가들이 차례대로 1위부터 4, 7위로 꼽혔다. 그 뒤를 이어 일본(23.58%), 싱가포르(14.91%), 베트남(9.87%), 필리핀(7.24%)과 같은 아시아권 국가들이 순위에 올랐다. 유럽에서는 독일이 12.06%로 영국과 나란히 7위에 오르며 순위에 포함됐다.

 

이주하고 싶은 국가를 고르는 주요한 기준 지표로는삶의 질 28.51%로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교육 및 생활비’(14.04%), ‘문화적 경험’(12.28%)이 높은 답변율을 보였다. ‘문화 적합성지표에 대해 여성의 경우에는 15.17%가 택한 반면, 남성은 9.71%만이 답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해외에 거주하는 것의 장점과 기대하는 점으로는 과반이 넘는 응답자가다양한 경험’(62.94%)을 택했다. 뒤를 이어유창한 외국어 실력’(41.23%)재정 안정성’(31.36%) 2위와 3위에 올랐고, ‘더 나은 교육’(28.63%)안전’(23.9%) 또한 해외 거주의 장점으로 꼽혔다.

 

반대로 해외 거주 시 단점과 우려되는 점에 대해서는언어 및 문화 차이 39.91%로 가장 높았다. ‘공공안전’(38.60%)이나차별’(34.21%), ‘정부 정책’(21.05%), ‘사회적 인프라’(18.86%)가 뒤를 이어 정치적, 사회적 상황에 대한 우려 역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한국에서의 생활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73.07%의 응답자가 국내 생활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8.76% Z세대가 한국 생활에 만족한다고 답변한 반면, X세대는 69.15%로 전 세대를 통틀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한국에서의 삶이 만족스러운 이유로는 건강과 안전 관련 항목의 답변 비율이 높았다. ‘헬스케어 및 보험 시스템 80.65% 1위로 꼽혔으며, 뒤를 이어공공 안전 71.34% 2위를 차지했다. 그러나공공 안전에 대한 여성의 만족도는 66.56%로 남성(74.9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반면재정 안정성’(37.63%)이나취업 기회’(37.23%)와 같은 경제적 요인은 가장 낮은 선택률을 보이며 최하위의 만족도 요인으로 작용했다.


<virgin37@reviewtimes.co.kr>
<저작권자 ⓒ리뷰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추천한 회원 보기
추천한 회원
profile_image TepiphanyI리뷰어
김민철l기자의 최신 기사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전체검색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