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미취학 아동 누구나 시간 단위로 맡기는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 운영 > 공공

본문 바로가기

공공

[생활] 미취학 아동 누구나 시간 단위로 맡기는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 운영

본문

[리뷰타임스=최봉애 기자] 서울시가 저출생 극복을 위한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의 하나로, 미취학 아동이라면 누구나 필요할 때 시간 단위로 이용할 수 있는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을 새롭게 시작한다.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은 기존 어린이집의 유휴 공간을 활용해서 주중‧낮 시간대에 시간 단위로(1일 최대 4시간, 월 60시간 한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취학 전 모든 보육 연령대(6개월~7세 이하)의 아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 포스터(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이 정부가 하고 있는 시간제 보육을 보완해 양육자들에게 보다 폭넓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취지라고 설명했다. 소위 ‘독박육아’로 피로도가 높은 양육자가 긴급한 상황뿐 아니라 운동, 자기개발 등 재충전의 시간을 가질 때에도 마음 편히 이용함으로써 육아 피로도를 조금이나마 낮춰주고자 한다고 시는 덧붙였다. 


먼저, 정부의 시간제 보육이 어린이집에 다니지 않는 가정양육 아동 위주로 운영되는 데 반해,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은 가정양육 아동뿐만 아니라 기존 어린이집 재원 아동 등도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용료의 경우 정부 시간제 보육이 가정양육 아동은 2천 원, 기존 어린이집 이용 아동은 5천 원으로 차등․운영하나,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은 2천 원으로 구분 없이 운영된다. 


이용 시간도 정부 시간제 보육(9:00~18:00)보다 앞뒤로 1시간30분 더 연장된 7:30~19:30까지 운영해 양육자가 부득이하게 일찍 출근해야 하거나 늦게 퇴근해야 할 때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용 연령도 취학 전 아동으로 확대해(정부 시간제 보육 대상: 6개월 이상~36개월 미만) 유치원 방학 등으로 대체 기관이 필요한 양육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은 공모를 통해 선정된 권역별 7개 어린이집에서 우선 시범운영을 시작하고, 내년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할 예정이다. 


시는 제공기관의 운영 능력 및 시설의 쾌적함과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 ‘서울형어린이집’ 공인을 받은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했으며, 공모 시 분리된 보육실을 2개 이상 확보하고 1층 위주로 공간을 확보하도록 했다. 


또한, 어린이집 운영시 중요한 기관장의 운영 의지와 능력 등도 선정 시 살피도록 해 운영 안정성과 서비스 수준을 담보토록 했다. 선정된 어린이집은 최대 3개 반의 시간제전문 어린이집 운영이 가능하며, 시가 반별 보육교사와 보조교사 인력, 운영비를 지원한다. 


선정된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 7개소는 ▴동북권 2개소(성북 숲속반디어린이집, 도봉 세인어린이집) ▴서북권 1개소(은평 은화어린이집) ▴서남권 2개소(금천 동화나라어린이집, 관악 당곡1어린이집) ▴동남권 2개소(송파 리틀짐어린이집, 강동 지혜로운어린이집)다.


7개소 중 6개소는 17일(월)부터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나머지 1개소(은평 은화어린이집)는 7월1일(월)부터 운영 예정이다. 


시는 7월 중 시간제보육 제공기관이 부족한 자치구 내 3개소를 추가로 선정할 예정이다. 



<bachoi@reviewtimes.co.kr>
<저작권자 ⓒ리뷰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땡삐I리뷰어의 최신 기사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전체검색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