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리뷰] 올 여름 지하철 냉방 이용 방법...객실 양쪽 끝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 가장 시원 > 서비스리뷰

본문 바로가기

서비스


[생활 리뷰] 올 여름 지하철 냉방 이용 방법...객실 양쪽 끝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 가장 시원

본문

[리뷰타임스=최봉애 기자] 연일 기승을 부리는 찜통 더위로 '올여름 폭염이 평년보다 많이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을 체감하고 있다. 이 가운데 지하철 내에서는 벌써 ‘덥다, 춥다’ 온도전쟁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서울교통공사는 여름철 냉방 가동 열차 내에서 본인의 체감 온도에 맞춰 시원하고 쾌적하게 이용하는 방법 등 유익한 정보를 제공한다.

 

 

가장 시원한 곳은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춥다고 느끼면 객실 중앙부로


열차 내 냉기의 흐름에 따라 온도가 가장 낮은 곳은 객실 양쪽 끝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이며,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객실 중앙부다. 따라서 본인의 체감 온도 상태에 맞춰 열차 내에서 자리를 이동하면 더욱 쾌적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다.


공사는 냉방 가동 시 전동차 내부 온도를 측정한 결과, 좌석 위치에 따라 온도 차이가 2~4℃ 정도 나며 승객이 많은 경우 최대 6℃까지 벌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같은 열차 내에 있더라도 덥다고 느끼는 승객과 춥다고 느끼는 승객이 동시에 나올 수 있는 이유이다.

 

전동차 객실 내 공기 흐름도(서울시 제공)

 

 추위를 느끼는 승객의 경우 일반칸에 비해 1℃높게 운영되는 약냉방칸을 이용하는 것도 추천한다. 약냉방칸은 1,3,4호선에서 4·7번째 칸이며 5,6,7호선은 4·5번째, 8호선은 3·4번째 칸이 해당된다. 2호선은 혼잡도가 높아 약냉방칸을 따로 운영하지 않는다.


여름철 전동차 일반 칸의 냉방기 설정온도는 24℃로 설정하여 운영되고 있다. 

  

호선별 약냉방칸 위치(서울시 제공)



열차가 혼잡할 경우 객실 내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공사 공식 앱인 ‘또타 지하철’에서 열차 내 혼잡도 정보를 확인하여 덜 붐비는 칸을 이용하는 것도 또 다른 팁이다.


2호선 본선과 3호선은 실시간 혼잡도를 제공하고 있고, 2·3호선을 제외한 1~8호선은 직전 3개월, 요일별, 10분 평균 혼잡도를 분석한 통계성 혼잡도 정보로 대체 제공하고 있다.

3호선 실시간 혼잡도 정보(서울시 제공)




<bachoi@reviewtimes.co.kr>
<저작권자 ⓒ리뷰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추천한 회원 보기
추천한 회원
profile_image 김우선I기자 profile_image TepiphanyI리뷰어
땡삐I리뷰어의 최신 기사

댓글목록2

TepiphanyI리뷰어님의 댓글

profile_image
TepiphanyI리뷰어
2024-06-21 08:35
이걸 몰랐네요. 요긴한 정보입니다. 그런데 이상 기후로 날씨가 점점 더워지는데 약냉방칸이 필요 있을까요?

김우선I기자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우선I기자
2024-06-21 08:54
오...이런 정보 좋네요.

 

게시물 전체검색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