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우주] 한화시스템, 국내 최초 ‘순수 우리 기술’ 민간 위성 발사
정부 도움·업체주도로 고해상도 지구관측 위성 시장 개척
![profile_image](https://reviewtimes.co.kr/data/member_image/vi/virgin37.gif?1675047101)
본문
한화시스템 ‘소형 SAR 위성’ 발사는 해외 의존도가 높았던 위성 제조·발사 분야의 국내 기술력을 증명해낸 것으로, 우주 강국들이 기술 패권을 유지하기 위해 수출을 통제해왔던 분야에서 국내 첫 국산화를 이뤄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발사체는 정부가 앞서 개발한 고체 발사체 및 궤도진입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정부 기술지원과 민간 기업의 기술력을 결집해 이번 성과를 거뒀다.
현재 한화시스템은 용인연구소 위성관제센터에서 위성과 지상 기지국과의 첫 교신을 대기 중이다.
한화시스템은 소형 SAR 위성을 활용해 B2G(기업과 정부 간 거래)·B2B(기업 간 거래)용 △고해상도 위성 이미지 분석을 통한 환경 모니터링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도 제작을 위한 데이터 분석 △위성 영상 정보를 자동 융합·분석해 다양한 부가 가치를 창출할 예정이다.
한화시스템이 개발한 소형 SAR 위성은 일반 위성과는 다르게 탑재체와 본체 및 태양전지판이 일체화된 형태이다. 다수의 전장품을 하나로 통합해 발사체에 최대한 많이 실을 수 있도록 설계돼 발사 비용이 크게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어성철 한화시스템 대표이사는 “국민의 세금으로 개발·축적된 우주산업 기술이 민간기업들의 도전을 통해 국민의 편의와 안전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면 더 없이 감사한 일”이라며 “한화시스템은 민간 주도의 위성 개발·제조·발사·관제·서비스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해 나가며 K-우주산업 대표 위성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뜻을 밝혔다.
한편, 이번 제주 해상 발사는 7월 한화시스템-제주특별자치도 간 ‘제주 민간 우주산업 육성 MOU’ 체결을 통해 제주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협력에 따라 이뤄졌다. 특히 한화시스템은 제주도에 위성 개발·제조시설인 ‘한화우주센터’ 구축을 통해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 SAR(합성개구레이다, Synthetic Aperture Radar): 공중에서 지상 및 해양에 레이다파를 순차적으로 쏜 후 레이다파가 굴곡면에 반사돼 돌아오는 미세한 시간차를 선착순으로 합성해 지상 지형도를 만들어 내는 레이다 시스템. 주야간 및 악천후에도 영상 정보 획득 가능해 에너지 탐사, 자원 모니터링, 재해·재난 감시, 기후·환경 감시, 건설·인프라, 안보 분야 및 분쟁지역에서 활용도가 높다.
<virgin37@reviewtimes.co.kr>
<저작권자 ⓒ리뷰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추천한 회원
![profile_image](https://reviewtimes.co.kr/data/member_image/le/lee727.gif?1673852120)
김민철l기자의 최신 기사
-
[Consumer] [식품] ‘먹태깡 고추장마요맛 출시2025-02-14
-
[SERVICE] [여행] ‘RUN 2025 SAIPAN’ 기획전 출시2025-02-14
-
[IT] [AI] LG CNS, 델 테크놀로지스와 AI 사업 동맹 강화2025-02-13
-
[Consumer] [모빌리티] 현대자동차, E-GMP 기반 첫 전동화 플래그십 모델 ‘아이오닉 9’ 출시2025-02-13
-
[Consumer] [모빌리티] ‘캐스퍼 일렉트릭 크로스’ 출시2025-02-10
-
[IT] [AV] JBL, 노이즈 캔슬링 완전 무선 이어폰 신제품 4종 출시2025-02-10
-
[공공] [청소년] 제26기 경기도 청소년참여위원회 청소년 위원 모집2025-02-10
-
[Consumer] [식품] 일본 ‘홋카이도 치즈 케이크 푸딩’ 독점 판매2025-02-07
댓글목록0